Programming/AWS
AWS EC2에 대한 요약
★용호★
2016. 7. 2. 19:43
EC2 란?
- 전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군 어딘가의 가상 서버가 EC2 인스턴스.
- 데이터 센터군은 Region이라 함.
- 어디서든 어떠한 Region이라도 사용 가능함.
- 지역은 Availability Zone으로 나뉜다.
- 각각의 Availability Zone은 물리적으로 많이 떨어져 있어서 서로 다른 존을 사용하면 재해 대비 가능.
- 여러 대의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가용존에 배치하는 것을 추천.
- Availability Zone 사이는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네트워크 속도가 문제 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처음에는 최소한의 사양으로 가상 서버를 운용하고, 필요에 따라 조금씩 스케일 업하는 것을 추천.
- 스케일 업을 위해서는 EC2 인스턴스를 일시 정지 해야한다.
EBS(Elastic Block Store)
- 스토리지 디바이스.
- EC2 인스턴스를 만들 때 첫 번째 디스크(부팅 디스크)인 EBS도 함께 만들어진다.
- EC2가 Terminate되면 EBS도 함께 제거되지만, Delete on Termination 옵션의 체크를 해제하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스냅샷을 이용한 백업이 가능.
- 디스크 용량 변경도 가능 (Ondemand Disk 패턴).
AMI(Amazon Machine Image)
- EC2 인스턴스는 서버 이미지(AMI)를 기본으로 만든다.
- AMI는 OS가 설치되어 있어 실행 가능한 서버 디스크 이미지.
IP 주소
- EC2 인스턴스를 가동하면 두 개의 IP 주소(Public/Private)가 할당된다.
- 기본적으로 둘 다 동적.
- EC2 인스턴스를 정지하고 다시 가동하면 다른 IP가 할당됨. (재시작 시에는 같은 IP 할당)
- Elastic IP Address 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인 IP 주소를 고정으로 사용 가능.
-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하나의 무료 고정 IP를 받을 수 있다.
- Elastic IP Address가 EC2에 매핑되어 있지 않고 추가만 되어 있는 경우 과금이 되므로 가능한 빨리 EC2에 적용해야한다.
주의 사항
- EC2를 종료하게 되면 EC2 인스턴스는 파기되고 데이터는 전부 삭제된다.
- EC2는 가동(Start), 정지(Stop), 재가동(Reboot), 종료(Terminate)의 조작이 가능.
- 실수로 종료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는 Termination Protection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EC2 인스턴스
- 가상 서버의 사양을 인스턴스 타입이라 한다.
- 마이크로 인스턴스 : 제일 작은 인스턴스, 로컬 인스턴스 스토어가 없다.
- 다른 인스턴스와 달리 부하에 따라 최대 2ECU까지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 ECU는 해당 인스턴스의 사양을 나타냄.
- 부하시 일시적으로 능력(2ECU)을 자동으로 늘려준다.
- 로컬 인스턴스 스토어란?
- EC2 내부에 존재하는 단발성 스토리지.
- EBS와 비교해 빠른 액세스가 가능하지만 EC2 인스턴스를 정지하면 저장된 데이터는 사라진다.
- 애플리케이션의 캐시로 활용하면 성능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