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31

툴 제작 계획 기존에 팀에서 제작해놓은 툴이 c++로 되어 있어서 유지보수 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어서 내가 c#으로 컨버팅을 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작업하면서 기획에서 사용하면 편할 것 같은 기능들을 몇가지 추가하고 마무리를 짓고나서 보니 각팀에서 필요한 기능들이 추가되어 있긴 한데 팀에만 종속되는 기능들이 존재해서 이를 분리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우선, 기능을 분류해보면 서버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서버 관리 기능, 서버 배포 기능, 기획팀에서 테이블을 배포하거나 generate하는 기능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서버 배포 기능은 서버팀에서만 사용하고 테이블 관련 기능은 기획팀에서, 그리고 나머지 기능은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세운 계획으로는 서버팀에서만 사용하는 기능들은 jenkins로 활용.. 2015. 10. 18.
node.js에서 cluster 사용 연습 (기초) node.js 프로그래밍 책에 나와있는 예제를 고대로 따라해봤다. 이것만 따로 포스팅 한 이유는 node.js는 싱글 쓰레드 기반의 이벤트 루프 방식으로 알고 있어서 cpu가 노는 것이 비효율 적이지 않을까 싶었는데 스레드 대신 프로세스를 여러개 사용하는 방법이라 유용할 것 같아서이다. cluster를 사용하면 fork()를 통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요청에 대한 처리를 각 프로세스에서 나눠서 처리할 수가 있다.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스택을 공유하지 않지만 프로세스간 메시지 전달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제에서는 간단하게 cluster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를 나눠 apache benchmark를 통해 응답 시간을 비교하는 것으로 cluster의 이점을 설명했다. plain-ser.. 2015. 10. 14.
virtual box에서 port forwarding 어려운 건 아니지만 할 때마다 찾아봐서 기록해두기로 결정. 먼저, Virtual box에서 머신을 선택한 후 설정에 들어간다. 설정에서 [네트워크] -> [포트포워딩] 을 선택한다.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호스트 IP에 현재 로컬 머신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127.0.0.1로 할 경우에 외부에서 접속은 안되므로 IP 주소를 입력한다. 게스트 IP에는 가상 머신의 IP를 입력. 설정하면 바로 적용되므로 서버를 하나 띄우고 외부에서 접속 테스트를 해보면 아래와 같이 서버에서 보낸 문구가 출력된다. 2015. 10. 13.
Jenkins Msbuild 시 빌드 후 이벤트에 매크로 사용 시 경로 문제 툴 작업을 하던 중 설정파일이나 라이브러리 파일은 빌드 완료 시 출력 디렉토리 쪽으로 복사하도록 비쥬얼 스튜디오 속성에서 빌드 후 이벤트에 넣었는데 개발 환경에선 잘 동작하지만 Jenkins에서 msbuild를 통해 빌드를 할 때는 경로 지정이 잘 안되는 문제가 생겼다. 빌드 후 이벤트 셋팅copy $(ProjectDir)lib\ $(TargetDir)mkdir $(TargetDir)confcopy $(ProjectDir)conf\ $(TargetDir)conf $(ProjectDir)과 $(TargetDir)이 비쥬얼 스튜디오에서는 원하는 대로 경로 설정이 되었지만 Jenkins를 통해 빌드를 해보니 Program File 경로의 디렉토리가 생성되었다. 빌드 후 이벤트를 사용해서 이것저것 시도해봤지만 .. 2015.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