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24 [Kubernetes] 헷갈렸던 StatefulSet 정리 이 게시글은 Database Operator In Kubernetes study (=DOIK) 2기에서 스터디한 내용 중 Database Operator를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StatefulSet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며 기록한 내용입니다. StatefulSet은? StatefulSet은 Pod의 순서와 고유성에 대해 보장 각 Pod에 영구적인 식별자인 고정 ID를 유지하기 때문에 PV를 사용할 경우 Pod가 제거되고 새로운 Pod가 실행되더라도 동일한 PV에 mount할 수 있도록 함 N개의 replica가 설정된 StatefulSet은 각 Pod에 0 ~ N-1까지의 정수가 순서대로 할당됨 (순서 인덱싱) 시작 인덱스 값은 .spec.ordinals 값으로 변경 가능하지만 변경할 일은 거의 없을 것.. 2023. 10. 29. [Kubernetes] Cross Account에 IRSA를 적용하기 이 게시글은 Database Operator In Kubernetes study (=DOIK) 2기에서 스터디한 내용 중 ExternalDNS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며 기록한 내용입니다. External DNS란? ExternalDNS synchronizes exposed Kubernetes Services and Ingresses with DNS providers. 쿠버네티스의 External DNS는 Service와 Ingress 생성 시 도메인 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애드온 입니다. 따라서 기본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기존에는 생성된 로드밸런서의 DNS를 수작업으로 Route53과 같은 도메인 서비스에 연동을 해줘야 했다면 External DNS로 쿠버네티스의 리소스.. 2023. 10. 22. [리뷰] 팀장부터 CEO까지 알아야 할 기업 정보보안 가이드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지금껏 서비스를 개발할 때 보안은 거의 제일 마지막이 생각을 해왔던 것 같다. 이 전 프로젝트에서도 개발이 완료된 이 후에 사내 보안팀과 보안 검수를 진행했었는데 상당히 애를 먹었던 경험이 있다. 근 1년간을 보안팀과 협업을 했는데 서로 언성을 높이기도 하고 시간 허비도 꽤 많았었다. 이 책 “팀장부터 CEO까지 알아야 할 기업 정보보안 가이드"를 읽고나니 부족했던 부분들이 상당히 많이 보였다. 먼저 나도 그렇고 보안팀도 그렇고 서로의 KPI와 팀 역할에 대해서만 생각했던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보안 검수를 통과하기 위한 방법만을 두고 고민을 했고, 보안팀에서는 사내 거버넌스와 컴플라이언스 등을 고려해서 면밀히 다방면으로 검토를 했던 것 같.. 2022. 2. 27. [리뷰] Go 언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Go 언어를 3년간 사용해왔지만 아직도 익숙하게 잘 다루고 있는지 의문이 들 때가 많았고, 네트워크는 대학교 때부터 공부 했었지만 아직도 어렵게만 느껴졌다. 게다가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되면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더 커지게 되었고, 운영 중 문제가 발생하는 대부분이 네트워크에서 발생했었다. 그럴 때마다 트러블슈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었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마음 한켠에 언제나 숙제로 남아있었다. “Go 언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이라는 책 제목을 봤을 때부터 흥미가 생겼고, 목차를 보는 순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예전에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책을 본적은 있었지만 예제와 실행 결과 위주다보니 동작을 확인해도 이게 왜 된 건지 이해가 안될 때가 많았는데 이 책에서는 이론 설명을 충.. 2022. 2. 1. 이전 1 2 3 4 5 6 7 8 ··· 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