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23

[리뷰] 클라우드 핀옵스 회사 업무와 개인 프로젝트 모두 클라우드를 적극 사용하고 있고, 그 중에서도 AWS에 의존도가 높다. AWS를 사용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새어나가는 비용이 있기 마련인데 책을 읽으며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리소스들을 살펴보니 불필요하게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 꽤 많았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회사에서 운영하는 리소스의 경우에는 내 개인돈이 나가지 않기 때문에 타이트하게 비용을 관리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얼마전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실수로 SSH Port를 any open하고 다음 날이 되어서야 발견했던 적이 있었다. 그 사이 해커들의 공격으로 해당 서버에 굉장히 많은 트래픽이 몰렸고, 이로 인한 비용 증가가가 꽤 컸다. (대략 20만원정도) 다행히 AWS에 문의하여 지원을 받긴 했지만 내 개인.. 2020. 12. 20.
[IDE] Goland 컴파일 시 already exists and is not an object file 에러 Goland 2020.3 (2020.11.25) 버전으로 업데이트 이 후 최초 컴파일에는 성공하지만 이 후부터는 이미 존재한다는 오류와 함께 컴파일에 실패하는 경우가 반복되었다.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Ctrl + Shift + A를 클릭 후 표시되는 Actions 입력창에 Registry라고 입력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go.build.output.path.cache.enabled" 항목을 찾아 체크 표시를 해제 한다. 이 후 빌드 수행 시 실행 파일을 캐시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캐시를 하지 않으면 빌드 실행 속도 개선의 이점을 잃게 되므로 다음 버전 업데이트 시에 다시 체크하고 실행을 해서 테스트해봐야할 듯 하다. 2020. 12. 14.
[Go언어] API 서버간 내부 통신 시 too many open files 문제 다수의 API 서버를 실행 중이고, 각 서버간에는 주기적으로 상호 통신을 실행하고 있다. 이 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서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dial tcp: lookup 127.0.0.1: too many open files 먼저 메시지 내용 처럼 현재 얼마만큼의 파일이 Open 되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lsof 명령을 사용하였다. lsof | wc -l 문제가 발생한 대상 API 서버에서 too many open files 발생 시 file open 수는 17141개 였는데 재시작 후 6994로 감소하였다. 이로 인해 프로세스 실행 후 문제가 발생한 시점까지 대략 10147개의 file open이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다른 프로세스로 .. 2020. 12. 5.
[리뷰] 스파크 완벽 가이드 개발 업무를 진행하면서 서비스를 런칭 했을 때 사용자들의 행위나 서비스가 제공하는 각 기능에 대한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항상 해왔었다. 이 전에는 게임 서버 개발 진행과 병행하여 엘라스틱서치를 도입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준비를 했었고, 서비스 런칭 후 이를 통해 사업부와 협업하여 사용자 행위 지표에 대한 다양한 차트를 만들어보기도 했었다. 이로 인해 생각지 못했던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하고, 업데이트 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었다. 이 때의 경험을 계기로 어떤 개발을 할 때는 항상 데이터 분석도 함께 해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얼마전에는 본 업무와 별개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데이터 분석을 해보기도 했다. 이.. 2020.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