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31

[리뷰] 이것이 MariaDB다 들어가며 백엔드 개발을 하다보면 데이터베이스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데도 생각해보면 깊이 있게 공부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내부 원리를 이해하기 보다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필드들에 인덱스를 걸어서 성능 향상이 있는지 체크 해보는 것이 고작이었었다. 아마도 개발이 주 업무이다보니 데이터베이스 보다는 개발 쪽에 치우치치 않았나 생각된다. 제대로 알지 못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복잡한 쿼리를 프로시저에 작성하면서 실제 운영에 들어갔을 때 엄청나게 고생을 했던 기억도 있다. 처음 접해봤던 PostgreSQL부터 MS-SQL, MySQL, MariaDB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개발을 해왔는데 대부분의 쿼리가 비슷하다보니 각각의 엔진에.. 2019. 4. 15.
[리뷰] IT 트렌드 스페셜 리포트 2019 들어가며해마다 IT 트렌드에 대한 도서들이 출간되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봐야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SNS나 IT 뉴스들을 통해 대략적인 IT 트렌드의 흐름은 인지하고 있었고, 책에 포함된 내용들이 크게 와닿는 부분들이 없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2018년도는 급변하는 환경을 직접적으로 느끼고 트렌드에 대한 중요성을 너무나 느꼈기 때문에 더욱 관심이 생겼다. 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웨어도 정기 구독 신청하고, 관련 컨퍼런스에도 자주 참석하게 되었다. 또한 이번에는 IT 트렌드에 대한 책도 한번 읽어보자는 생각이 들어서 읽기 시작하게 되었다. 책을 읽으며책을 읽으며 작가의 필력에 감탄했었다. 나도 글쓰기를 자주 하는 편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게 잘 작성하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지 잘 알.. 2019. 1. 17.
[리뷰] 모두의 HTML5&CSS3 : 16일 만에 배우는 웹 사이트 제작 기초 들어가며백엔드 개발을 주로 해오다가 최근에는 프론트엔드 개발까지 병행하게 되었다. 프론트엔드도 굉장히 빠르게 발전하고, 다양한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복잡도가 많이 증가하게되었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능숙하게 다루기란 정말 쉽지 않다. 백엔드 개발도 하면서 프론트엔드 공부와 개발을 병행하다보니 작은 기능 구현에도 굉장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결과물에서 많은 버그가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고, 그 때마다 내린 결론은 기본기였다. 현재는 기본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습득하고 있는 지식들을 그때 그때 적용하려다보니 코드의 일관성도 떨어지고, 혼자 개발했지만 갈수록 다양한 사람이 개발한 것 같은 모양새가 되고 있었다.기본기를 위해 자바스크.. 2018. 12. 18.
쿠버네티스 밋업(2018년 11월) 세션 내용 요약 Session1. Spinnaker on Kubernetes해외에서 스피너커로 많이 발음Spinnaker넷플리에서 시작구글과 함께 오픈소스로 공개 후 관리클라우드에서 SpinnakerInventory + Pipelines핵심 기능Cluster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의 집합Deployment배포멀티 클라우드대부분의 Public Cloud, Private Cloud 지원오픈스택은 V3 API 지원테라폼도 지원 예정알림 기능승인 기능관리자 판단 하에 수동으로 배포 진행할 수 있는 단계딜리버리 영역의 대부분의 작업을 스피너커가 대신 해줌Chaos Monkey 오픈소스가 내장되어 있어서 카오스엔지니어링 지원배포 전략블루/그린카나리롤링커뮤니티Community.spinnaker.io가 활발주요 마이크.. 2018. 12. 17.